스포츠산업 창업 보육 지원 정합성 모형: 의도 지각 괴리와 성과 창출 경로
한국스포츠경영전략연구원 2025-11-12

ssjeon@k-spo.co.kr

연구목적 

본 연구는 스포츠산업 창업보육센터의 보육 프로그램 효과성을 분석하고 제공자 보육센터와 수혜자 기업 간 인식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기존 연구가 공급 수준 또는 성과의 효과를 단편적으로 분석한 것에서 더 나아가, 본 연구는 보육센터가 의도한 지원과 기업이 지각한 지원 간 괴리에 주목하였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지식-동기-기회(KMO) 프레임워크, 지각된 조직지원(POS) 이론, 자원기반관점(RBT), 개인-환경 적합성(P-E fit) 이론을 통합한 스포츠산업 지원 창업 보육 지원 정합성 모형(Entrepreneurial Support Alignment Model)을 제안 하였다. 

연구방법  

국민체육진흥공단 산하의 창업 보육 지원센터를 포함한 정부 지원 전국 7개 스포츠 창업 보육 지원센터에 입주기업 대표 200명과 7개 보육센터 평가자로부터 수집된 총 200부의 유효 표본을 확보하였다. SPSS 2.6에 탑재된 PROCESS macro 4.3(모형 1, 4, 6)을 통해 센터 의도 프로그램, 기업 지각 프로그램, 조직 역량, 기업 성과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으며 추가로 필요– 실제 프로그램 간 편차가 조절 변수로 작용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센터가 의도한 프로그램 수준은 기업의 지각 수준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특히 필요-실제 간 괴리가 낮은 집단에서도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절대적 수준에서 여전히 상호 간 인식 차이가 크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둘째, 교육/멘토링/네트워킹 등 장기적 역량 강화 프로그램에서 괴리 수준이 크게 나타났다. 셋째, 기업이 지각한 프로그램 수준은 조직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조직 역량은 다시 기업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프로그램과 성과 간 관계는 조직 역량을 경유하는 매개효과로 설명되었으며, 센터 의도와 성과 간 직접 경로는 유효하지 않았다. 

결론 

스포츠 산업 창업 보육 효과는 단순한 지원 강도가 아니라 의도-지각 정합성과 제공-수요 적합성에 의해 좌우됨이 확인되었다. 학문적으로 본 연구는 네 가지 이론을 결합한 통합 모형을 제시한 의의가 있으며,실무적으로는 (1) 프로그램 설계 운영의 정합성 강화, (2) 단기 양적 성과 중심에서 질적 역량 중심으로의 평가 개선, (3) 참여형 거버넌스 구축, (4) 민관 협력 체계 강화, (5) 보육센터 담당자의 번역자(translator) 역할 제도화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주요어 창업 보육 지원 정합성 모형, 스포츠 산업지원센터, 창업 지원, 프로그램-성과 메커니즘,스포츠산업



0건의 글이 있습니다.
  • (주)데이터플레이랩스
  • 대표 이상현, 김진주
  • 주소 [한성대학교 상상밸리3]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교로10바길 38 202호

  • (주)한국스포츠경영전략연구원
  • 대표 최빛나, 전성삼
  • 주소 [국민체육진흥공단 SPORTS 360° LAB]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 올림픽로 424 202호
Copyright 2024 Korea Sport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All Right Reserved.